서울시에서는 기후변화와 환경·에너지 문제 공감대 형성과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해
‘2050 탄소중립 서울’을 주제로 제25회 「서울환경작품공모전」을 개최하오니 시민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50 탄소중립 서울" 카드뉴스
제25회 공모전 소개
개요
접수 및 제출
- 접수기간 : 2021. 7.12.(월) ~ 9.24.(금)
- 접수방법 : 온라인, 우편, 방문접수
① 사진, 동영상, 포스터(컴퓨터그래픽 작품) : 상단의 '공모전 접수' 메뉴 클릭
② 포스터(손으로 직접 그린 작품) : 우편 또는 방문접수
- 접수처 : (04515) 서울시 중구 덕수궁길15, 서울시청 서소문1청사 1동 1층
기후에너지정보센터(접수시간 10:00∼16:00) ※ 우편은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제출
- 형식
① 온라인접수 : 작품파일, 출품신청서, 작품활용동의서를 하나의 압축 파일로 제출 (파일명 : 분야_이름_작품명.zip)
② 우편·방문접수 : 출품신청서, 작품활용동의서와 함께 작품 제출
※ 작품 당 1매 제출 (작품파일, 출품신청서, 동의서 모두 제출)
- 규격
부문 | 제출내용 | 비고 |
사진 | ․ 해상도 : 800만 화소 이상/ 20MB 이내 ․ 파일형식 : JPG ․ 제출물 : 이미지 파일(JPG) ※ 필름사진 수상자는 원판필름 제출 필수 ․ 장소 : 서울 ․ 촬영일: 2021년 1월 이후 촬영 작품 ※ 이미지 합성이나 변형한 경우 수상이 취소될 수 있음 | 온라인 접수 |
동영상 | ․ 다큐영상 또는 애니메이션, 모션그래픽 등 자유 형식 ․ 시간 : 1분 이내 ․ 해상도 : 1,280×720(pixel) 이상 ․ 형식 : MOV, AVI, WMV, MP4 등 (스마트폰 촬영 가능) ․ 제출물 : 동영상 파일 제출 ※ 용량에 따라 CD, USB 제출 가능 | |
포스터(초등부) | ․ 형 식 : 표현기법과 재료 제한이 없는 자유형식 <컴퓨터그래픽 작품 제출 시> ․ 해상도(파일형식) : 300dpi 이상 (JPG) ․ 제출물 : 이미지 파일(JPG) ※ 수상자는 파일 원본(ai, eps 등) 제출 필수 | 온라인 접수 |
<손으로 그린 작품 제출 시> ․ 용지사이즈 : 8절지 ※ 종이의 재질은 제한이 없습니다. | 우편 or 방문 접수 |
심사 및 시상
시상
- 수상자 : 총 22명, 시장 상장, 상금 총 530만원 지급
구분 | 계 | 사진 | 동영상 | 포스터(초등학생) | ||||
인원(명) | 상금(만원) | 인원(명) | 상금(만원) | 인원(명) | 상금(만원) | 인원(명) | 상금(만원) | |
계 | 22 | 530 | 6 | 180 | 7 | 210 | 9 | 140 |
최우수상 | 3 | 150 | 1 | 60 | 1 | 60 | 1 | 30 |
우수상 | 8 | 210 | 2 | 30 | 3 | 30 | 3 | 20 |
장려상 | 11 | 170 | 3 | 20 | 3 | 20 | 5 | 10 |
- 입상작 발표 : 2021. 10월 중
※ 서울시 홈페이지 및 서울시 환경교육포털(https://ecoedu.seoul.go.kr)에 게시 및 수상자 본인 개별 공지
※ 수상자 개별연락
※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코로나19 확산상황에 따라 대면 또는 비대면 개최 예정
유의사항
기타
- 반환기간 : '21.10월(예정) 10:00~17:00
- 반환장소 : 서울시청 서소문1청사 1동 1층 기후에너지정보센터
※ 반환기간은 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반환기간 내에 수령하지 않은 작품은 서울시에서 임의 처리
제25회 공모전 주제
탄소중립이란?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불가피한 배출량을 흡수해 실질 배출량을 ‘0(Zero)' 으로 만드는 것
비전 및 목표
연도별 감축 목표
추진전략
탄소중립 실천
일반가정에서는
에너지 절약은 | 에너지 자가진단 활용, 에너지절약 방법을 확인 |
여름엔 26~28℃, 겨울엔 18~20℃ | |
세톱박스, 전자제품 대기전력 차단 | |
에어컨은 경제적으로 사용(선풍기와 함께 사용, 에어컨 청소) | |
TV는 절전모드로 세팅 | |
에너지효율 1등급 제품 사용 | |
5분 샤워로 온수 사용 줄이고, 절수기 설치 | |
서울시 에코마일리지에 가입하고 매월 1회 모니터링 하기 | |
에너지전환은 | 모든 조명을 LED로 교체 |
친환경 콘덴싱보일러 이용 | |
스마트미터기(지능형 전략계량기) 설치 | |
창호, 벽체, 지붕 단열 강화 | |
옥상을 쿨루프(녹화 or 흰색차열)로 개선 | |
옥상, 베란다 등 유휴 공간 태양광 설치 | |
이웃과 함께 에너지자립마을 만들기 | |
재생가능에너지 관련 기업이나 펀드에 투자 | |
햇빛발전 협동조합에 참여 | |
이동할 때는 | 대중교통 이용 |
걷거나 자전거 이용 | |
친환경 운전습관 - 트렁크 비우기, 공회전 줄이기, NO 3급(급출발, 급제동, 급가속) | |
승용차 마일리지 가입하고 주행거리 줄이기 | |
5등급, 4등급 자동차는 타지 않기 | |
전기차, 수소차로 교체 | |
공동주택 내 전기차 충전소 설치에 협조 | |
비행기를 안타거나 줄여 타기 | |
비행기 이용 시 탄소상쇄프로그램에 참여 | |
녹색 소비 문화는 | 장바구니를 항상 휴대 |
1회용 안쓰기 (컵, 빨대, 비닐, 배달, 세탁비닐) | |
배달음식 주문 시 다회용기, 친환경용기를 요청하고, 1회용은 거절 | |
다시 생각, 꼭 필요한 물건만 구입 | |
포장재가 없거나 적은 물건 구매 | |
무포장가게 (제로웨이스트숍) 이용 | |
친환경·녹색 인증제품 (친환경마크, 저탄소인증마크) 우선 구매 | |
물건을 아껴 쓰고, 수리·수선을 통해 오래 쓰기 | |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멀리하기 | |
자원 재활용은 | 쓰레기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쓰레기 줄이기에 도전 |
투명페트병은 라벨과 이물질 제거 후 헹구고, 압착하여 뚜껑을 닫고 따로 배출 | |
유색페트병 등 플라스틱 용기류는 라벨과 이물질 제거후 헹구고 배출 | |
비닐포장재, 1회용 비닐종류는 이물질을 세척하고 테이프제거 후 접지 말고 배출 | |
택배 상자는 운송장, 테이프 제거 후 잘 펴서 배출 | |
흰색 스티로폼은 이물질, 부착상표, 테이프를 제거 후 배출 | |
배달 용기는 내용물을 충분히 헹군 후 배출 | |
중고가게, 중고물품 애용 | |
다시 채움(리필) 제품 이용하고 용기 재사용 | |
가족 모두와 분리배출 방법 익히고 철저히 참여 | |
자원순환을 위한 기업의 책임과 역할을 요구 | |
자원순환 인프라(자원회수시설, 재활용선별장 등) 설치에 협조 | |
음식 문화는 | 음식물 쓰레기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기를 짜서 분리배출 |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줄이기에 도전 | |
꼼꼼하게 계획하여 식재료 구입 | |
친환경 유기농제품 선택 | |
식재료 낭비 줄이고 최대한 활용 | |
음식 남기지 않기 | |
육식 중심에서 채식 중심으로 전환 | |
우리지역 먹거리(로컬푸드) 애용 | |
옥상, 베란다, 상자텃밭에서 직접 재배 도전 | |
생태 환경은 | 반려식물 기르기 |
담장 녹화하고, 빈터에 작은 정원 조성 | |
내 집 앞을 화분으로 꾸미기 | |
나무 심기 참여 | |
가까운 곳의 가로수를 돌보는 활동에 참여 | |
우리 주변의 공원과 녹지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
기업 & 기업 시민(회사원)은
기업 경영이념은 | 친환경 혁신을 도입하고, ESG 경영에 앞장서기 |
온실가스(CO₂)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배출한 온실가스는 흡수 대책 마련 | |
직원, 고객 대상 탄소중립 필요성과 방법 교육·캠페인 | |
정부, 지자체의 탄소중립 정책에 적극 참여 | |
지역사회와 녹색소비 문화 확산에 참여 | |
녹지와 공원을 늘리는 계획을 세우고 실천 | |
생산과 제조는 | 청정기술과 친환경 설계 도입 |
친환경·녹색제품, 재활용 원료를 우선 구매 | |
상품의 적정생산, 포장은 최소화 | |
재활용이 쉬운 재질과 디자인 제품 생산 | |
녹색제품 정보(친환경마크, 저탄소인증마크) 표기 | |
리필제품 생산 확대, 다회용기 사용 | |
플라스틱 용기, 포장재는 최소화하고 친환경소재 사용 늘리기 | |
리필, 재사용품, 업사이클링 제품 유통 매장 확대 | |
건물과 시설관리는 | 모든 조명을 고효율 LED로 교체하기 |
센서 및 디밍조명 설치하여 불필요한 조명 자동 소등 | |
옥상과 지붕을 쿨루프(화이트루프, 녹화)로 개선 | |
노후된 냉난방설비 교체 | |
창호, 내외 단열, 지붕 단열 등으로 에너지 효율 높이기 | |
전기를 절약하여 수요자원 거래시장을 통해 거래하기 | |
에너지관리는 | 에너지 진단 및 절약 계획, 이행 모니터링 |
점심·퇴근시간 소등 및 냉난방 적정온도 준수 (여름 26~28℃, 겨울 18~20℃) | |
에코마일리지 가입하고 에너지절약 생활화 | |
에너지 고효율 기기 구매, 효율 최적화 유지 | |
생산공정 및 제품의 에너지 효율 높이기 | |
태양광,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이용 | |
이동과 수송관리는 | 업무시 승용차 자제,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택시, 나눔카 등) 이용 지원 |
화물·택배차량, 업무차량 등의 공회전 금지 | |
자전거 이용 출퇴근 직원 장려 및 편의공간 마련 | |
업무차량과 오토바이를 전기차·수소차 및 전기오토바이로 교체 | |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부지 제공 | |
사옥 등 주변공간을 보행자 배려 환경으로 개선 | |
승용차마일리지 가입하고 운행거리 감축 | |
녹색소비와 재활용은 | 건물 내 1회용 반입금지 |
업무공간 및 회의실 1회용 사용금지, 다회용기 사용 의무화 | |
우산비닐 이용 금지 | |
녹색제품 구매 및 이용 장려 | |
업사이클 제품 이용 | |
사내 아나바다 (아껴쓰기, 나눠쓰기, 바꿔쓰기, 다시쓰기) 이용문화 정착 | |
다회용 배달용기 등 1회용 근절 문화조성 선도 | |
음식 문화는 | 잔반 없는 날 운영 및 음식물 쓰레기량 관리 |
음식물 쓰레기 종량기(RFID) 및 감량기 설치 | |
지역먹거리와 직거래장터를 활용한 식자재 마련 | |
푸짐한 상차림이 아닌 알맞은 상차림 제공 | |
잔반 없는 고객에게 할인혜택 주기 | |
남는 음식은 포장해 주거나 먹거리은행에 기증 |
학교에서는
에너지 절약은 |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 줄이기에 도전 |
여름엔 26~28℃, 겨울엔 18~20℃ | |
빈 교실 불끄기, 에어컨 끄기 생활화 | |
물 절약하기 | |
서울시 에너지수호천사단 활동으로 친환경 리더 되기 | |
이동할 때는 | 자전거, 도보로 등교 |
대중교통 이용 | |
교직원 출퇴근도 대중교통, 자전거, 도보 이용 | |
교직원 자가용 이용 시 친환경 경제운전하기 (경제속도 준수, 급출발, 급제동 ×) | |
녹색소비 문화는 | 다시 생각, 꼭 필요한 물건만 구입 |
포장재가 없거나 적은 물건 구매 | |
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기 (아나바다) | |
교복 물려주기 | |
지역 내 무포장 가게 찾아 이용하기 | |
자원 재활용은 | 쓰레기배출 실태를 모니터링하고 쓰레기 줄이기에 도전 |
투명페트병은 라벨과 이물질 제거 후 헹구고, 압착하여 뚜껑 닫고 따로 배출 | |
플라스틱 용기류는 라벨과 이물질 제거 후 헹구고 분리배출 | |
중고가게, 중고물품 애용 | |
음식 문화는 | 급식 잔반 실태 조사하고, 음식쓰레기 줄이기에 도전 |
육식 줄이고 채식 늘리기 | |
음식은 먹을 만큼만 담고 남기지 않기 | |
교내 텃밭 채소 기르기 | |
우리지역 먹거리(로컬푸드) 애용 | |
학교장은 | 환경교육 활성화 |
에너지 / 쓰레기 / 급식잔반 줄이기 홍보 실천단 운영 | |
대기전력 차단 제품 이용 | |
에너지 효율 1등급 제품 이용 | |
모든 조명은 LED로 교체 | |
친환경 콘덴싱 보일러 이용 | |
스마트미터기(지능형 전략계량기) 설치 | |
창호, 벽체, 지붕 단열 강화 | |
옥상을 쿨루프(녹화 or 흰색차열)로 개선 | |
옥상, 베란다 등 유휴 공간 태양광 설치 | |
절수기 설치 | |
빗물 활용 | |
스쿨버스는 전기버스로 교체 | |
학교 내 전기 충전기 설치 | |
음식물 퇴비화 | |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가입하고, 초록미래학교 선정되어 상금 받기 |
FAQ
1. 응모자격이 어떻게 되나요?
서울 시민이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2. 공모 분야를 알려 주세요.
사진, 동영상, 포스터 3부문으로 공모하고, 포스터는 초등학생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3. 접수 방법을 알려주세요.
접수는 사진, 동영상, 포스터(컴퓨터 그래픽 작품)는 공모전 홈페이지(www.seoulidea.org)를 통해서 가능하고 손으로 직접 그린 포스터는 우편 또는 방문접수가 가능합니다.
접수처 : (04515) 서울시 중구 덕수궁길 15, 서울시청 서소문1청사 1동 1층 기후에너지정보센터 (접수시간 10:00~16:00, 월~금) 우편은 마감일 도착분에 한합니다.
4. 참가 가능한 나이를 정확하게 알려주세요.
사진과 동영상은 나이 제한이 없고, 포스터는 초등학생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5. 공모전 마감이 언제인가요?
마감일은 9월24일(금)입니다.
(참고 : 접수기간 2021년 7월12일(월) ~ 9월24일(금))
6. 부문별 형식에 대해 좀 더 설명해 주세요.
사진은 해상도 800만 화소이상/20MB 이내, 촬영장소가 서울이어야 하며, 촬영일은 2021년 1월 이후 촬영한 작품이어야 합니다.
동영상은 자유형식으로 1분 이내이며 1,280x720(pixel)이상의 해상도로 스마트폰 촬영도 가능합니다. 파일은 용량에 따라 CD, USB로도 제출 가능합니다.
포스터는 표현기법와 재료의 제한이 없는 자유형식이며 컴퓨터그래픽(300dpi이상) 또는 손으로 그린 형태(8절지)로 제출이 가능합니다.
7. 심사 방식을 알려주세요.
각 부문별 관련 전문가 5~7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운영합니다.
심사항목(작품활용성, 작품성, 독창성) 등 세부방법은 심사위원회에서 결정합니다.
8. 심사항목은 어떻게 되나요?
작품활용성, 작품성, 독창성 등 세부기준을 심사위원회에서 결정합니다.
9. 팀으로 응모 가능한가요?
동영상 부문만 팀으로 응모 가능합니다.
10. 한 사람이 여러 작품을 제출해도 되나요?
부문별로 1인 1점 출품이 가능합니다.
11. 전 분야 다 참여하고 싶어요. 가능한가요?
동일인이 부문별로 1점 출품은 가능하나 중복 시상은 하지 않습니다.
12. 수상작품 저작권 관련
수상자의 저작권은 응모자에게 있습니다.
수상자는 서울시 정책 홍보 및 전시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한도 내에서 작품이 복제·재가공 되어 이용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13. 접수 후에 파일 수정할 수 있나요?
접수된 작품에 대해서는 최종 심사전까지 반환, 수정, 재접수 불가합니다
14. 응모 마감날짜 이후 추가 접수가 불가능한가요?
접수 마감날짜 (2021년 9월24일) 이후에는 추가 접수가 불가능합니다.
15. 심사발표는 언제인가요?
2021년 10월 중으로 예정하고 있으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16. 유사한 성격의 다른 공모전에 출품했던 작품을 본 공모전에 출품해도 되나요?
미수상작은 출품이 가능합니다만, 타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은 심사 시 제외되며, 초상권, 저작권, 음원 등 법적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17. 출품작품은 순수창작물이어야 하나요?
출품작은 반드시 제출자 본인이 제작하거나 촬영한 순수 창작물이어야 하며, 이미지 합성이나 변형한 경우 수상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공지사항